모델명 | 탈착식 스텐연도 쓰리패스 SF-50B |
---|---|
난방면적(㎡/p) | 165㎡ (50P이하) |
제품규격(폭x높이x길이) | 680X1320X1390 (단위:mm) |
순수화실(폭x높이x길이) | 510X510X1000 (단위:mm) |
관수량(L) | 400 |
중량(Kg) | 350 |
설비방식 | 대기 관체 개방형 무압설비 |
공통사항 | 참나무, 2~3년이상 건조목, 쪼갬목 |
강제 송풍시 나무가 2.3배 더 소요해서 지양함. A/S없는 자연통풍식 신제품 출시 | |
보일러실 내에 위치함 | |
스텐연도 직관 4m이상 |
※ 제품 규격, 외관 디자인 및 상기 사양은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전 제품은 입금 완납 후 출고가 진행됨을 공지합니다.
현장의 환경과 여건에 따른 설계 적용(On site treatment system)과 30년간 최고의 화목보일러를 연구, 설계, 제조하는 기술력 보유
01. 열효율 향상 전통 구들 방식을 현대 과학에 재접목한 열응축 구조로 거꾸로 일체 연소(특허 제10-1068043호)
02. 화목 절약 화실 내 열기를 유지해 화목 최대 칼로리 유도 나무 소요량 최소화(특허 제10-1068043호)
03. 난방수 온도 유지 화염이 연소실 상층부까지 근접해 난방수 뜨겁게 유지
04. 안전성 화염 열기차단판으로 역풍을 방지하여 안전성 확보
05. 피해 방지 특허 적용 도어의 완전 밀폐구조로 화재 및 화상 피해 방지(특허 제10-1446509호)
06. 무압 안전설계 관체 대기 개방식 안전설계로 폭발 위험 없음
07. 열회수율 향상 문틀없는 워터재킷형으로 방출되는 열손실 없음 (특허 제10-1446509호, 특허 제30-0657748호)
08. 수명 연장 목초액 처리가 용이한 외부 연도 구조로 보일러 수명 연장(특허 제10-1161048호, 특허 제20-0474692호)
09. 내구성 향상 화실 내부 바닥면 캐스터블 양생으로 난방수 보온과 내구성 상승(특허 제30-0510668)
10. 과연소 제어 자연 연소 시스템으로 화목의 과연소 제어 자동급수장치 사고 미연 방지와 보일러 과열 차단
11. 무연 보일러 2차, 3차 연소구로 연기 없는 무연 보일러
12. 맞춤제작 용도별, 지역별 출력 칼로리 맞춤 제작
화목보일러는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와 비슷하다고 생각하고 구매하시면 시행착오를 많이 겪습니다.
왜냐하면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의 연료는 일정한 소모칼로리와 규격이 정해져 있지만, 화목보일러는 이러한 연료의 일정기준이 없기 때문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하는 점은 바로 화목보일러의 연료인 나무의 종류, 쪼갠 형태, 마른 정도 등입니다. 열효율이 좋으려면 나무의 지름 이 10센티를 넘어가면 장작형태로 쪼갤수록 좋아지며(예를들면 피죽 등 ), 목초액도 덜 생기니 수명도 길어집니다.
다음으로는 지역에 따라 화목보일러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그 다음으로는 화목보일러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지, 평수, 단열조건, 천정이 높은지, 일층이 들린 전원주택인지,이층인지, 겨울을 기준으로할 때 전체 평수를 다 난방할 것인지, 온수를 쓰는 식구가 많은지 ,겨울철 일일 나무 투입횟수를 한 번으로 할 것인지, 겨울밤에 안나가는지에 따라 충분한 크기로 감안하시면 편리합니다.
그 다음으로 경제성을 고려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경제성이란 화목보일러의 제품가격, 설치 가격, 한 해동안의 나무구입비 등을 감안하셔야 합니다. 이 외에 화목보일러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더 많은 요소를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우리 집 화목보일러로 인해 이웃에 분진이 날린다든지, 나무이외의 것을 태워서 매연이 심하게 생긴다든지, 화목보일러의 연도 청소를 안해서 불티, 검댕이가 날린다든지의 여러 가지 사유로 민원의 소지가 생긴다면 등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해서 화목보일러를 선택하시기를 권유합니다. 이러한 분쟁은 소비자의 소홀한 화목보일러의 관리에 해당하므로 소비자 관리상의 책임이 있음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정리해보면, 사용 년 수가 더해지면서 목초액으로 인한 열효율이 저하되는 화목보일러의 특성상 내부구조는 막힘 없이 청소가 쉬운 구조이면서 고효율을 유도하는 기본 구조를 가져야 성능 유지에도 유리하며 소비자가 관리하기도 쉽습니다. 화목보일러는 설치 후에는 소비자의 관리가 들어간다는 것을 먼저 유념하셔야 합니다. 소비자들의 구매시 선택조건을 상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보일러 본체의 앞을 뒤보다 2~3cm 가량 높입니다.)
난방라인에 찌꺼기가 많으면 보일러 수명이 짧아지며, 열효율에도 차이가 납니다. 세관작업이 우선되어야함.
보충수 탱크와 퇴수 라인의 아래위는 15액셀(주름관)로 연결하여 보일러 내부로 직수가 들어가게 합니다.
보일러 본체에 물을 채웁니다
순환펌프의 방향(화살표)은 보일러에서 방 쪽으로 밉니다.
보일러 본체 정면에 있는 온도계의 온도가 50도를 가리킬 때 순환펌프가 작동됩니다. 온도계의 온도가 45도 이하이면 식은 물이 방 안으로 들어가지 않게 순환펌프가 작동되지 않습니다.
저희 화목보일러는 연통설치를 직관4m 기준으로 설계해놓았습니다. 연통청소도 염두에 두고 설치해야 합니다. 연통을 구부리는 부분에 나무재가 채여서 연기가 못 빠져나오면 보일러 화실 앞으로 연기가 나옵니다. 정상적인 연통직관 설치로 보일러의 수명이 오래갑니다.
에어가 잘 빠지면 분배기의 출구 쪽과 회수 쪽의 온도가 비슷해집니다.
온도계의 눈금은 80도를 가리키는데 방이 안 따뜻하면 에어가 안 빠져 순환이 안 되는 증상입니다.
온도계의 온도가 80도에서 60도 이하로 떨어지면 순환이 되고 있으며 출구와 회수 쪽 분배기가 뜨거워집니다. (순환펌프 한계온도가 80도로 지침하고 있으니 보일러의 물 온도도 80도를 넘기지 않도록 나무량을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즉 보일러 본체의 난방출구와 난방회수에 각각 달린 25볼밸브를 닫아 2층 라인을 차단시키면 보일러 본체의 물이 넘치지 않습니다.
직수로 에어를 뺍니다.
간혹 보충수 탱크에는 물이 들어가는데 보일러로는 물이 안 들어간다는 문의가 옵니다. 이런 경우도 산화된 녹 찌꺼기가 퇴수밸브 수위 선 까지 쌓인 상태입니다. 녹물을 빼고 부동액을 넣으면 이런 증상이 없어집니다.
나무류 만 사용하면 화재 예방도 됩니다.
부득이한 경우에 일어나는 사고에 대한 모든 책임은 소비자가 진다는 소비자의 동의가 있었음을 확인합니다.이 외 주의사항은 카탈록,홈페이지로 검색하셔서 재차 숙지바랍니다.
전자 제품은 피로균열이 없습니다.
우리 집에는 오래 못쓴다면 원인이 있으니 찾아서 조치해야 합니다.
또한, 보일러실이 없는 경우 겨울철 기온이 영하 7도씨 이하가 하루 이상 지속되면 동파 방지를 염두에 두고 보온조치를 해야 합니다. 겨울철 밤에 자고 있을 때 동파가 원인이 되어 보일러에 물이 없이 때어 과열되면 수명은 다 한 겁니다.(증상은 온도계가 100도 이상일 때이며, 본인도 자각을 못할수 있습니다.)
우리 집은 스텐 연통을 1년에 한 번씩 교체한다면, 보일러에도 무리가 되게 사용하는 경우이니 첫째로 나무를 바꾸세요, 2~3년 이상 마른나무, 참나무,지름15~20cm 넘으면 쪼갬, 쪼갤수 없는 나무는 짧게해서 화실에 나무를 넣었을 때 타닥타닥 타는 나무로 바꾸시기 바랍니다.
찬물일 때는 직수로 먼저 한 번 빼고, 70도로 온도를 높여서는 에어를 뺄 때, 배관에 붙어 있던 녹찌꺼기가 불어서 나오다가 배관을 막을 수도 있습니다.
난방회수 라인을 땅바닥에 떨어뜨려 놓고 순환 시켰을때 물이 콸콸 나와야지 에어가 빠진 겁니다. 만약 물이 안 나오는 경우는 어딘가가 막혔습니다. 온수로 분배기 하나하나 에어를 빼는데 시간이 몇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또, 사용하지 않던 방을 열면 그 라인은 꽉 막혀서 안 나올 수도 있습니다.
배관 상태에 따라 양이 달라집니다.
퇴수 밸브를 열어 녹물은 흘려 보내고 넣어야 부식은 방지 됩니다.
프리미엄 All Zn은 녹물이 생기지 않아 부식방지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반형 제품은 반드시 부식방지제를 첨가하세요.
배관체결한 후 직수가 정상적으로 차는지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철 보일러인 경우는 6개월~1년마다 부식방지제나 부동액(최대1:1)을 첨가하면 철의 산화를 막아 보일러의 수명이 길어집니다.
부동액을 넣었더니 도로 액셀이 막혔다는 경우는 산화된 찌꺼기가 뭉쳐서입니다. 세관작업을 해야합니다.
화목보일러의 단독 설치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기름보일러가 옆에 있으면 겨울 철 비상조치가 가능합니다.
숨구멍을 막으면 수증기라 빠져 나갈 수 없어서 보일러가 터질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특히, 겨울철 오버라인이 얼면 압이 차서 보일러가 터질 수 있으니 권유하지 않습니다.
2층 까지 오버라인을 끌고 가는 설비는 무압설비가 아닙니다.
화목보일러로 인한 옆집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소중한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에 각별히 주의하십시오.
화목보일러 사용시 화재와 안전사고는 사용자의 사용 미숙과 관리 부주의에 의한 원인이 대부분이므로 항상 경계심을 가지고 제품의 사용방법에 대해 잘 숙지한 후 관리해야합니다. 화목보일러로 인한 사고는 겨울철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그 모습은 화재와 폭발등입니다. 자나깨나 불조심을 합시다!
화재의 주원인은 목재주입구에서의 불티 날림으로 인한 주변 가연물의 발화, 제대로 건조되지 않은 나무나 송진이 많은 소나무 등을 땔감으로 사용해 연통에 인화성 타르성분이 쌓임으로 인한 연통 과열, 태우고 난 재를 그대로 버리고 방치해 잿더미에서 남은 불씨의 날림으로 인한 화재 등이 있습니다.
화목 보일러의 폭발은 대부분의 화목 보일러가 폐쇄형 구조라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배관과 배출구가 얼거나 이물질이 들어가 배관이 막혀 보일러 가동시 발생된 수증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해 내부 압력상승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숨구멍(오버플로)이 얼지 않도록 해야하며, 반드시 오버플로를 열어두셔야 됩니다.
화목보일러 설치 시 보일러는 불연재로 구획된 별도의 실에 설치해야 하며 보일러 주위에는 땔감등의 가연물을 방치하지 말고, 2M 이상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보일러 주변 배관의 철저한 보온조치를 해야 합니다.
보일러 주변에는 소화기를 비치해 유사시에 즉시 화재를 초기진압할 수 있또록 해야 합니다. 화목보일러는 불과 관계되어 항상 위험성이 잠재돼있으므로 그에 대한 화재 및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해 경계심을 늦추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보일러 연통 청소를 주기적으로 해 연통화재를 예방하고 연통 청소시에는 보일러 내부의 불씨가 모두 소진된 후에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역품으로 인해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타고 남은 재는 바로 그대로 버리거나 방치하지 말고 불이 안붙는 깡통같은 통에 담아서 물로 불씨를 제거한 후 (며칠 뒤)에 흙으로 덮습니다.
화목보일러의 가장 불편한 진실은 바로 연료인 나무로 인한 목초액!
목초액은 새벽녘 보일러온도 60도 이하에서 보일러실 내외의 기온차로 인해 생깁니다. 목초액은 청소과정을 통해 비교적 적게 생기게 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조건에 맞추면 목초액이 안나올 수도 있으나, 나무보일러를 못 때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면 시행착오의 과정이 길어집니다.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는 안정된, 규격화된 연료 사용으로 인해 청소과정이 거의 필요치 않으나 화목보일러는 연료가 비규격화된 나무인 관계로 청소과정이 필요합니다. 나무의 상태가 가장 중요한데요. 장작형태로 2~3년간 재어놓은 형태는 목초액이 거의 안생깁니다. 또한 나무의 종류가 참나무, 아카시아, 피죽 형태의 나무는 열량도 잘나며 좋은형태입니다. 특히 주의할 점은 생나무, 소나무, 과수나무등은 비중도 약하고 목초액도 많이나와 목초액을 많이 생성하여 보일러의 수명도 줄이고 열도 안나서 오히려 나무소비량이 늘어나며 불편을 초래합니다. 목초액 청소는 보일러 내부에 찐득찐득한 타르가 타서 없어지도록 잔가지나 불쏘시개를 넣어 '확' 열을 내서 태우며 보일러 내부와 연도를 긁어내는 것입니다.
만약, 나무를 투입하려고 화실문을 열 때 안나오던 연기가 문 앞쪽으로 나오기 시작하면 보일러 내부에 목초액이 부착한 상태이므로 빨리 청소를 해서 연기가 안나오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목초액이 들어 붙어 한계치 이상이 되면 예전과 다르게 나무를 많이 넣어도 온도가 안 오릅니다. 또한, 연통이 꽉 막힌경우도 같은 형태입니다. 이럴 때는 연통을 뽑아내서 새연통으로 교체하든지, 연통을 말린 후 툴툴 떨어 내고 다시 꽂아서 사용해야 합니다.
출력이 HIGH일 때 ON표시됨(적색램프)
설정 시에만 ON됨(녹색램프)
POWER KEY로 전원을 ON/OFF하며,OFF시는 다른 키가 동작하지 않는다. ▼ 또는 ▲키가 움직이는 순간 설정LED가 ON되며 설정 값이 표시된다.설정온도를 바꾸고, 3초 동안 키의 변경이 없으면, 설정LED가 OFF되며 현재온도가 표시된다.
▼ ▲ 키를 동시에 3초 누르면 FUNCTION의 시작인 Stn 표시가 나타난다. Stn - 올림 키를 누르면 - SEn - tIn - rSt 순으로 표시가 나타난다. 원하는 메뉴가 나타나면 ▼ ▲ 키를 동시에 누른다.
SEn 방식 : 센서로 인한 동작 방식으로 원하는 온도 값을 설정하여 준다. 셋팅 방법은 원하는 온도 값을 설정 한 후 ▼ ▲ 키를 동시에 누르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마지막 단계까지 진행하면 SAU가 3회 깜빡이며 설정 값이 저장된다. 셋팅 완료 후 온도설정은 올림,내림 키를 사용하여 설정하며 키 동작이 없으면 3초 후 다시 현재온도가 표시되며 동작된다.
tIn 방식 : 타이머 방식으로서, 주기와 단계를 설정하여 동작하는 방식을 말한다. (타이머 방식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센서는 반드시 분리하여 준다.) 센서방식 사용 중 온도센서가 단선된 경우, 자동으로 타이머방식으로 변환 동작된다.
온도센서가 단선인 경우, 자동으로 타이머 모드로 변환 가동된다.
온도센서가 합선일 경우, ( 표시 창에 Es가 깜빡이며 출력이 차단된다.)
온수 올림내림 버튼을 사용하여 희망하는 온도를 설정하여 준다. 올림 또는 내림 버튼을 누르면 설정온도 표시 창의 온도가 증가 또는 감소한다.
보일러 조절기의 전원을 ON / OFF 할 경우 조절기 우측의 전원버튼을 사용하여 ON/OFF 하여준다. (OFF 시는 아무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다.)
강제적으로 송풍기 동작을 ON/OFF 할 경우 사용한다. (임의로 송풍기 제어가 가능하며, 가동 또는 정지 후 다시 동작 시 정상 운전한다.)
설정/현재 온도 : 현재 보일러 에 설정된 온수온도 와 현재 물 온도를 표시하여준다. 설정온도는 변경 시 즉시 적용 표시되며, 현재온도 또한 온수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즉시 표시된다.
열림 : 열림 램프가 켜지면, 현재 순환모터가 동작하는 상태이다.
닫힘 : 닫힘 램프가 켜지면, 현재 순환모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다. (순환모터의 동작에 따라 열림 닫힘 램프가 교차하며 ON/OFF 동작한다.)
열림 : 열림 램프가 켜지면, 현재 공기모터가 열림(송풍기 가동) 상태이다.
닫힘 : 닫힘 램프가 켜지면, 현재 공기모터가 닫힘(송풍기 정지) 상태이다. (공기모터(송풍기)의 동작에 따라 열림 닫힘 램프가 교차하며 ON/OFF 동작한다.)
메인 조절기의 기본 동작은 설정온수 온도에 따라 현재온수 온도를 감지하여, 공기구멍(송풍기)를 ON/OFF 하여 주는 방식이다.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공기구멍을 열어주거나 또는 송풍기를 가동하여 연소동작을 하며, 현재온도가 상승하여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공기구멍을 닫아주고 순환펌프를 가동하여 난방을 하는 방식이다. 메인 조절기 자체 동작 시 이러한 원리로 동작하며, 룸콘 통신 연결 시는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순환펌프를 가동하며, 공기구멍 또는 송풍기는 온수온도에 따라 동작한다.
현재온도 표시창 | 에러내용 | 처리방법 |
---|---|---|
EO | 온수센서 단선 | 온수 센서가 단선된 경우 발생한다. (모든 동작 정지) 센서의 결선상태 확인, 컨넥터 빠짐 등의 경우 확인 - 에러 해지 시 자동 복귀한다. |
ES | 온수센서 합선 | 온수 센서가 합선된 경우 발생한다. (모든 동작 정지) 센서의 결선상태 확인, 연장 사용시 결선상태 확인 - 에러 해지 시 자동 복귀한다. |
Ht | 온수온도 과열 | 온수 센서 감지 온도가 과열온도를 초과한 경우 발생한다.(순환펌프 동작) 보일러 점검 - 온수 센서 자체 불량인지 확인한다. 에러 해지 시 수동 복귀한다. |
ER | 광 센서 에러 | 설정상태 확인 ( 셋팅 모드에 들어가서 광 센서 사용 안 함 으로 설정한다.) |
실내온도 설정 : 룸 콘 상단 실내 온도표시 우측 편에 올림 혹은 내림 버튼을 살짝 터치하여 준다. (손을 대고 있으면 연속적으로 설정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 한다.)
온수온도 설정 : 룸 콘 하단 온수 온도표시 좌측 편에 올림 혹은 내림 버튼을 살짝 터치하여 준다. (손을 대고 있으면 연속적으로 설정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 한다.)
급탕 설정 : 급 탕 을 설정 하고자 할 경우, 급탕 버튼을 살짝 터치하여 주면 된다. 급 탕 설정 시 동작 중이던 순환 펌프는 무조건 정지한다. (실내온도 설정 불가)
전원 on/off : 전원 버튼을 터치 하여 주면 부 저음 과 함께 조절기의 전원이 off되며 , 다시 누를 경우 전원이 on 된다. 룸 콘 조절기의 전원을 off할 경우 메인 조절기의 전원도 off된다.
[ 선택 ] 버튼을 터치 하여 주면 순서대로 난방 , 절약 , 외출 램프가 반복적으로 점등 설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능을 선택하며 선택 즉시 자동으로 변환 동작 한다.
절약운전 : 절약운전 선택 시 연소가 가동되는 시간 동안 on/off 주기가 나뉘어 동작 한다.
외출동작 : 외출 선택 시 실내 온도가 15℃ 이하로 떨어질 경우 보일러가 가동되어 15℃를 유지하여 준다.
난방운전 : 일반적인 운전 방식으로 온도에 따른 순환펌프 동작 방식이다.
실내온도 표시창 | 에러내용 | 처리방법 |
---|---|---|
EO | 실내센서 단선 | 실내 감지 온도 센서가 단선된 경우 발생한다. (온수설정온도에 따라 동작한다.) 룸 조절기의 점검이 필요하다. - 에러 해지 시 자동 복귀한다. |
ES | 실내센서 합선 | 실내 감지 온도 센서가 합선된 경우 발생한다. (온수설정온도에 따라 동작한다.) 룸 조절기의 점검이 필요하다. - 에러 해지 시 자동 복귀한다. |
nC | 룸콘 통신 점검 | 통신이 안 되는 경우 발생 - 보일러에 부착된 메인 조절기 전원상태를 확인한다. (3p선이 색상에 맞도록 결선 되었는지 확인 , 통신선 단,합 선 확인) |